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LANGUAGE
ENGLISH
CHINESE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대학정보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연구업적물 AURORA↗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원↗
G-램프(LAMP) 사업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전공자율선택제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검색 열기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연구업적물 AURORA↗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원↗
G-램프(LAMP) 사업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전공자율선택제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모바일 메뉴 닫기
KOREAN
ENGLISH
CHINESE
아주광장
HOME
아주광장
대학정보
입학
교육
연구/산학
학사지원
대학생활
아주광장
미디어센터
공지사항
캘린더
미디어센터
커뮤니티
아주인칼럼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아주인칼럼
Total
2028건
,
8
/
406
게시글 검색
검색분류선택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검색
1993
[칼럼] 의지·결심만으론 부족 재미가 있어야 버틴다
위치 확인
[김경일, 심리학과 교수] 벌써 3월이다. 이쯤 되면 신년에 야심 차게 세웠던 결심과 목표들 중에 소리 없이 무너지거나 어그러지고 있는 것들이 슬슬 눈에 띄기 시작한다. 무엇이 문제일까? 이제는 의지나 신념 혹은 열정이 사라졌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겠지만 이 분야에 가장 정통한 연구자들에 의하면 그것은 이제 재미가 없다는 걸 본격적으로 뼈저리게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무슨 뜻일까? 결심과 의지는 무언가를 재미가 없어도 할 수 있는 힘이며, 따라서 동력이 떨어지면 재미에 자리를 잠시 내어주어야 그 무언가를 계속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잘 보여주는 연구를 케이틀린 울리(Kaitlin Woolley) 코넬대 교수와 내적 동기 귄위자 아옐릿 피시배크(Ayelet Fishbach) 시카고대 교수가 발표한 적이 있다. 하략 https://www.mk.co.kr/news/business/11261995
1992
작성자
이솔
작성일
2025-03-13
2346
동영상
동영상
k.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991
[칼럼] 트럼프 상호관세보다 더 심각한 미국의 경기 침체
위치 확인
[이왕휘, 정치외교학과 교수] 취임 후 50일 만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첫 번째 정치적 위기에 직면했다. 감세와 규제 완화를 통한 황금시대를 예고했던 그는 과도기에는 경기가 침체될 수도 있다고 말을 바꿨다. 이러한 말 바꾸기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즉각적이었다. 지난 10일 하루에 다우지수 2.08%, 스탠더드앤드푸어스500 2.7%, 나스닥은 4.0% 폭락했다. 하략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312580378
1990
작성자
이솔
작성일
2025-03-13
2333
동영상
동영상
l.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989
[칼럼] 동해 대왕고래 사업 다시 보기; 에너지 안보의 함정
위치 확인
[최기련, 에너지시스템학과 명예교수] 작년 6월 윤 대통령이 직접 동해 심해저 '대왕고래' 프로젝트를 통해 최대 140억 배럴 석유-가스 자원 부존 가능성을 발표하였다. 과학적 검증도 거쳤다고 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최소 35억 배럴에서 최대 140억 배럴의 석유-천연가스 존재 가능성을 확인했단다. 현재 소비량을 기준으로 할 때 천연가스는 최대 29년, 석유는 최대 4년 쓸 수 있는 매장량이란다. 산자부 장관은 해당 광구의 가치는 '삼성전자 시가총액의 5배' 로 추정했다. 오랜 자원 곤궁의 한계를 벗어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되돌아보면 정치권이 에너지 자원개발 성공 앞장서는 행태는 앞날이 걱정스럽다. 윤 대통령의 석유-가스 발견 공표는 총선 참패와 지지율 하락에 즈음한 '정무적 판단'이라는 의견도 있다. 후속대책과 관련 정책(안) 신뢰성에 한계를 준다. 따지고 보면 이번 대통령이 연계된 세 번째 석유발견 선언이다. (하략)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226026369559
1988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5-02-27
2509
동영상
동영상
최기련 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987
[칼럼] '남들 잘나가는데 나만' 과거로의 퇴행 출발점
위치 확인
[김경일, 심리학과 교수] 최근 우리나라를 국가적 차원과 조직적 차원에서 보면 과거로의 퇴행이 일어난다는 우려를 금할 수가 없다. 단순히 정치적인 이슈만을 논하는 것이 아니다. 일하는 방식을 과거로 돌리자는 주장들이나 심지어 환경과 사회지배적 구조에서 기업의 역할을 강조하는 ESG 흐름에 반대하는 '안티(Anti)-ESG' 현상에 이르기까지 많은 전문가들이 심각한 이슈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심지어 이를 '과거의 습격'이라고 부르는 학자들도 있다. 심리학자 입장에서 봤을 때도 시의적절한 지적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이러한 흐름을 뭐라고 해야 하나? 심리학자들은 퇴행(regression)이라고 부른다. 이는 의학에서 말하는 퇴행(degradation)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개념이다. 심리학에서는 퇴행을 어떤 이유로 인해 충동을 충족시킬 수 없어 자아(自我)가 위기에 처하게 될 때, 심리적으로 이전 성장 단계로 되돌아가면서 정신적 평안을 얻으려 하는 심리적 책략을 말한다. 그리고 심리학자들은 최근 들어 국가, 사회, 기업 등 다양한 집단에서 목격되는 퇴행적 현상들의 이유를 고민하고 있다. (하략) https://www.mk.co.kr/news/business/11244937
1986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5-02-20
2498
동영상
동영상
김경일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985
[기고] 상상하기, 이야기하기, 사유하기
위치 확인
[김영란, 법학전문대학원 석좌교수] 해가 바뀌면 늘 새해에는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생각 해보게 된다. 뚜렷한 계획은 세우지 않은 채 어떤 부분은 고쳐보고 어떤 부분은 조금 더 노력해 보자 막연히 다짐하는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올해도 하나 마나 한 이런 생각을 하던 중에 그동안 쌓아놓기만 한 벽돌 책들을 한번 점검해 보아야겠다는 데까지 이르렀다. 처음으로 도전한 책은 아렌트의 책들이었다. 먼저 가장 두꺼운《유대인 문제와 정치적 사유》부터 집어 들었다. 다 읽고 나서는 아렌트의 대중적으로 가장 유명한 책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다시 읽을 수밖에 없었다. 《사유》 마지막 4장은 《아이히만》에 대한 이런저런 서평이나 공격에 대한 논쟁적인 답변을 싣고 있기 때문이다. (하략) https://www.lawtimes.co.kr/opinion/205648
1984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5-02-20
2574
동영상
동영상
김영란 석좌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첫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기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기